카테고리 없음

블록체인의 기본 개념 정리 - 특징과 활용

돈야매 2023. 1. 25. 03:57
728x90
반응형

목차
1. 블록체인 개념 설명
2. 블록체인 거래의 특징
3. 블록체인 기술의 장점

4. 분산형 원장

5. 블록체인의 활용


 

 

1.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block chain)이란 암호화폐인 비트코인 시스템과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가 기록되고, 분산되어 저장되는 하나의 공개 장부를 칭합니다. 블록체인은 분산장부(Distributed Ledger)로서 대표적인 주체가 없이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증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어떠한 거래가 발생하게 되면 거래된 정보의 검증을 위해 일정 시간(10분) 동안 발생한 거래를 모아서 블록(block)을 생성하고, 이러한 블록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체인(chain) 형태를 구성하게 되기 때문에 블록체인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2. 블록체인 거래의 특징
블록체인 거래의 특징을 살펴보면 거래 원장의 복사본이 각 네트워크 구성원에게 분산되어(distributed) 새로운 거래가 발생할 때마다 구성원들의 동의를 통해 해당 거래를 인증하게 됩니다. 이때 기존 중앙 집중화된 시스템에 의존하지 않고 개인 대 개인 간(P2P) 네트워크 방식을 이용하여 중개자의 개입이 불필요하고 거래의 효율성과 투명성이 높다는 것이 블록체인 거래의 가장 큰 장점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블록체인 거래의 다섯가지 특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익명성 - 거래 시 개인정보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익명성을 보장합니다.
  • 탈중앙성 - 공인된 제3자 없이 개인 대 개인 간(P2P) 거래가 가능함으로써 불필요한 수수료가 절감될 수 있습니다.
  • 확장성 - 공개된 오픈소스에 의해 쉽게 구축, 연결,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IT 구축비용 절감될 수 있습니다.
  • 투명성 - 모든 거래 기록에 공개적 접근이 가능하여 거래 양성화 및 규제 비용 절감이 가능합니다.
  • 보안성 - 거래장부를 분산하여 공유함으로써 거래정보의 위변조 방지의 장점이 있습니다.

 

3. 블록체인 기술의 장점

블록체인 기술의 다섯 가지 특징(익명성, 탈중앙성, 확장성, 투명성, 보안성)으로 인한 장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거래 발생 시 중개자의 개입이 불필요합니다.
  • 적은 비용으로 더욱 빠르고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 거래 정보의 위변조가 불가능합니다.
  • 거래의 신뢰성이 높습니다.
  • 거래정보의 추적이 쉽습니다.
  • 블록체인의 거래 정보가 블록으로 온라인에서 생성이 된 후에 해당 블록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모든 참여자에게 전송되고 거래 정보의 유효성을 참여자들에 의해 상호 검증되게 됩니다. 이렇게 검증이 완료된 블록은 체인에 등록되고 거래가 종료 됩니다.
  • 이러한 검증 가능성, 오픈성 및 위변조 불가의 특징으로 인해 거래의 효율성과 투명성이 높습니다. 


4. 분산형 원장(ledger)

기존에는 중앙서버에 통일된 거래내역 (Centralised Ledger)을 저장해 거래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함께 사용하는 중앙 집중형 원장 시스템을 사용하였는데요, 이러한 중앙 집중형 원장 시스템에서는 원장을 집중하여 관리하는 신뢰할 수 있는 제3의 기관(TTP: Trusted Third Party)을 설립하고 해당 기관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발전되어 왔었습니다. 하지만 특정 기관이 원장을 조작하거나 개인정보를 유출하는 문제가 제기되어 왔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이 나타났습니다.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은 블록체인을 사용한 방식. 중앙서버 없이 거래내역(Distributed Ledger)을 블록으로 나눠 거래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 또는 은행이 사슬형태로 나눠갖는 방식으로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은 거래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개인 대 개인 간(P2P)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참가자가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방식으로 모든 참여자가 거래내역이 기록된 원장 전체를 각각 보관하고 새로운 거래를 반영하여 갱신(update)하는 작업을 공동으로 수행하게 됩니다.

 

 

5. 블록체인의 활용

  • 디지털 정보 저장 분야 - 분산원장 기술의 장점 중 하나로 개별 거래와 관련된 정보 추적이 쉽기 때문에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공동으로 거래 정보를 검증하고 이를 기록 및 보관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디지털 인증 분야 - 주소, 전화번호 등 기존의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생체 정보도 추가한 디지털 신분증으로 더욱 간편하고 안전한 인증 과정을 거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대학이나 기업, 정부 등 개인이 아닌 신뢰 된 제3자가 인증한 정보도 블록체인에 등록함으로써 신원도용이나 금융사기를 방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디지털 자산 거래 분야 - 결제 및 해외송금 시 시장 변동성에 민감한 각종 금융자산의 거래 후 정산과정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여 자산거래의 변동성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의 해외 송금서비스는 기존의 중개은행을 거치는 기존 SWIFT 방식보다 보안성은 높이고 송금수수료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디지털 계약 분야 - 계약의 내용과 실행 조건 등을 사전에 블록체인 분산원장에 저장함으로써 스마트 계약의 실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을 둔 계약 - 다양한 규제와 긴 거래 사이클이 가지는 글로벌 지급·결제 시장에서 블록체인을 이용해 규제 준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조건 충족 시에만 거래가 이행되므로 제3자에 의한 사기 피해나 계약서 위·변조 등의 부정행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S. Nakamoto,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금융위원회, 블록체인기술 금융분야 도입방안을 위한 연구, 2016. 6
김동섭, 분산원장 기술과 디지털통화의 현황 및 시사점, 2016.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