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와 CBDC 및 비트코인
목차
- 암호화폐와 CBDC, 비트코인
1-1. 암호화폐의 종류 - 비트코인과 알트코인
1-2. 비트코인 - 비트코인 기술
2-1. 비트코인 거래
2-2. 비트코인의 분산과 공개
- 암호화폐와 CBDC, 비트코인
요즘 가장 큰 이슈 중에 하나는 바로 CBDC일 것입니다. CBDC는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라고 합니다. 즉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등 민간에서 발행된 가상화폐와 달리 각국가의 Central Bank(중앙은행)이 발행한 디지털 화폐를 뜻합니다. 일각에서는 CBDC가 시행되면 민간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은 사라질 수도 있을 것이라는 예측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비트코인과 CBDC는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이며 비트코인이 정말 사라지게 된다 하더라도 비트코인이 CBDC의 전신임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일 것입니다.
비트코인이나 CBDC등의 화폐를 암호화폐(Crypto currency) 혹은 전자화폐(digital currency)라고 하는데요 이는 주화나 지폐 등과 같은 전통적인 실물화폐와는 달리 디지털 환경에서 발행, 보관, 유통되며 디지털 환경에서 교환과 거래가 발생하지만 근본가치를 실물화폐에 두고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가상화폐와, 전자화폐는 완전히 동일한 의미는 아니아닌데요 가상화폐는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화폐가 아니라 발행기관이 정한 규칙에 따라 실물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발행 및 유통되는 화폐를 뜻합니다. 가상화폐는 암호화폐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비트코인(Bitcoin) 등이 포함되는 다양한 암호화폐(cryptocurrency)는 발행기관 없이 암호기술을 이용하여 더욱 안전하게 발행 및 유통이 될 수 있게 만들어진 화폐로 많은 국가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그럼 요즘 대세인 암호화폐(Crypto Currency)의 종류와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1. 암호화폐의 종류 - 비트코인과 알트코인
암호화폐는 크게 비트코인(Bitcoin)과 알트코인(Altcoin)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비트코인은 최초로 등장한 암호화폐를 말하고, 알트코인은 비트코인 출시 이후 비트코인의 단점을 보완하여 여럴가지 암호화폐가 생겨나면서 비트코인과 구별하기 위헤 알트(alt)라는 단어와 코인을 합쳐 민든 용어로 비트코인 제외한 암호화폐를 전부 알트코인(Altcoin)이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 알트코인 >
비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가상화폐를 뜻합니다. 비트코인의 대안(Alternative) 격으로 나왔다고 해서 알트코인(alt-coin)이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즉 비트코인에서 파생된 비트코인 캐시(Bitcoin Cash)와 이더리움(Ethereum) 등의 가상화폐는 모두 알트코인에 해당됩니다.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코인마켓캡에서는1,337종의 암호화폐가 거래되고 있으며 이 국내 3대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빗썸에서는 10여 종의 대표적인 암호화폐가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이 소개된 이후 엄청난 인기를 끌자 후속으로 다양한 종류의 가상화폐들이 등장했습니다. 대표적인 가상화폐로는 리플, 라이트코인, 대쉬, NEM, 이더리움 클래식, 비트코인 클래식, 모네로, Zcash,디크리드(Decred)가 있습니다.
1-2. 비트코인
너무 유명해져서 이제 다들 잘 아시겠지만 비트코인(Bitcoin)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전세계 최초의 독립적 사이버머니로 사용자의익명성 보장하며 누구든 채굴이 가능하다는 오픈성이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즉 누구라도 인터넷을 켜 채굴 프로그램을 다운받고 비트코인을 채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물리적 위조나 변경이 불가능하여 위변조로 부터 안전하며 수수료가 없고 시간 및 공간에 제약 없이 거래할 수 있다는 것이 기존의 화폐와의 큰 차이점입니다. 기존의 화폐는 국가간의 환율 및 Swift 등으로 인하여 제약이 있었는데요 비트코인은 P2P 사용방식을 사용하여 수수료를 지불하지 않고도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세상 누구하고라도 지연 없이 거래를 진행할 수 있으니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중 하나라도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비트코인의 대표적인 특징 및 장점이라고 불리우는 것으로는 국가나 군기관이 사용하고 있는 최신식 암호화로 거래가 이루어져 안전하다는 점, 국경을 초월하여 전세계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탄생은 조금 의심스러운 부분이 있는데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가 비트코인에 대해 고안하고 논문을 발표하며 세상에 비트코인이 처음 소개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논문에는 비트코인에 대한 거래방법, 작업의 증명, 인센티브,지불 증명, 프라이버시 등이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데 정작 사토시의 실체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개인이 아니라 암호화폐로 세계 통화를 통합하여는 단체에 의해 오랜 시간 비밀리에 연구되고 발표한 것이라는 설이 돌고 있습니다.
아무쪼록 사토시가 소개한 비트코인의 매커니즘은 디지털 화폐에서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이중지불(중복사용)을 방지하면서도 익명성을 보장한다고 합니다. 사토시가 설계한 비트코인의 검증 과정과 네트워크 유지 방법을 살펴보면 거래정보 인증에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을 이용 비트코인의 실소유자를 확인하게 되므로 모든 거래내역을 네트워크에 공개하기 때문에 비트코인의 중복 사용을 방지하고 이러한 검증과정에 참여한 사람을 채굴자로 부르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따라 비트코인은 통화를 관리하는 중앙기관의 개입 없이도 발행, 유통될 수 있는 것이며, 은행을 통해 송금할 때 발생하는 각종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방법도 간편하여 국가 간 자금 이체도 용이하도록 설계되었다고 하네요.
- 비트코인 기술
비트코인은 희소가치를 극대화한 설계가 특징인데요 이러한 희소성의 특징덕분에 비트코인이 이렇게 비싸진 걸까요? 비트코인은 발행개수를 2,100만 개로 제한하고 년마다 신규 통화 공급을 줄여 발행개수에 도달하면 발행이 금지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지금까지 생성된 비트코인은 2009년부터 2013년 8월까지 약 1,200만 개이며 2140년까지 총 2,100만 개의 비트코인만 발행되도록 설계되어 있다고 하네요. 그 이후에는 더 이상 비트코인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비트코인은 1초당 거래량이 적어서 미래의 일반거래를 담당하는 통화가 되기는 불가능하겠지만 이러한 희소성과 수량 제한의 특징은 암호화폐가 미래의 통화가 된다면 인플레이션을 막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특징일 것 같습니다. 비트코인은 사실 코인 하나당 가치가 엄청나게 큰 화폐로 일반 거래자들은 사토시 단위로 쪼개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비트코인을 쪼갠 단위를 잘 정리해 놓은 데이터를 데려와 봤습니다.
1 BTC (비트코인, bitcoin)
0.01 BTC 1cBTC(센티코인, centicoin)
0.001 BTC 1mBTC(밀리코인, millicoin)
0.000001 BTC 1μBTC(마이크로코인, microcoin) 또는 (비츠, bits)
0.00000001 BTC 1 satoshi(사토시, satoshi)
비트코인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하는데요
첫 번째 방법은 비트코인을 직접 채굴하고 채굴에 대한 대가로 수수료를 받는 것입니다. 채굴이라고 하면 마치 금광에 가서 금을 채굴하는 것처럼 느껴지는데요 비트코인을 채굴하는 것도 금광에서 금을 캐는 것과 마찬가지로 엄청난 장비와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비트코인을 채굴하기 위해서는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암호를 풀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고성능 컴퓨팅 환경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비트코인은 거래를 책임지는 은행 같은 기관이 없기 때문에 비트코인 거래의 이중지불 검증을 위해 비트코인 네트워크 참여자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채굴이라 하며, 이러한 자발적 참여를 통한 노력에 대한 보상으로 비트코인이 지급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채굴(Mining)은 비트코인 거래 시스템을 유지하는 핵심 메커니즘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유인을 제공하며 비트코인의 신규 통화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우 중요한 과정 중에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엄청난 보상인 비트코인을 대가로 주는 거겠지요.
두 번째 방법은 비트코인 거래소에서 직접 돈을 지불하고 비트코인을 구매하는 방법이다. 가장 큰 비트코인 거래소는 바이낸스로 거래량이 세계 최고이며 한국에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현금입금, 사용자 인증, 전자지갑 주소(Bitcoin wallet) 입력 등의 과정을 거쳐서 비트코인을 구매할 수 있다.
2-1. 비트코인 거래
비트코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내 비트코인 지갑(Bitcoin wallet) 프로그램 설치가 필요하다. 비트코인 지갑은 비트코인 주소(Bitcoin Address)를 생성하여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요 비트코인을 주고받은 후 이를 보관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입니다. 비트코인의 사용은 비트코인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에 등록한 가맹점에서 결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제과정은 비트코인에 대한 송금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전자지갑이 왜 중요하나면 비트코인은 개인 암호키를 분실하면 나의 코인을 영원히 찾지 못하는 구조입니다. 지금은 은행이 돈을 보관하고 거래를 도와주며 우리가 비밀번호를 분실하면 은행에 연락해서 비밀번호를 변경하거나 찾을 수가 있지만 비트코인은 P2P 거래로 중앙 관리 기관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트코인 지갑에 비공개암호를 반드시 잘 보관해여야 하는 것입니다.
2-2. 비트코인의 분산과 공개
또한 기존 은행 시스텤에서 온라인 송금은 은행이나 신용카드 회사와 같은 제3자 금융기관의 신뢰와 중앙집중식 장부를 바탕으로 거래가 이루어졌는데 이러한 중앙 집중식 거래장부는 디지털화된 화폐가 이중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요소였다. 비트코인은 이러한 이중지불에 대하여 비트코인 생태계에 참여자들이 P2P(개인 대 개인)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참여자들에게 거래장부를 분산하여 공개하는 전략을 사용하여 해결하고자 하였습니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비트코인 시스템과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를 기록하고, 분산되어 저장 및 공개되는 단일장부로 새로운 거래가 발생하면 그 거래에 사용된 비트코인이 이중지불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게 되는데,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수만 명의 자발적 검증자(채굴자) 및 참여자들로 구성되어 전 지구적 규모의 가상 금융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원리입니다.
마무리
지금까지 암호화폐와 비트코인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비트코인 혹은 가상화폐에 투자하려는 분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데요 적을 알고 나를 알아야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모두 투자 성공하시고 부자되시길 바랍니다.
< 참고문헌 >
S. Nakamoto,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조남수, 비트코인 기술 분석,
http://www.slideshare.net/00heights/bitcoin-29376481